1 >> 2 > 책임감 > 가래

연관태그 검색 [태그 in 태그]
[약초 지식] 만병초는 이름 그대로 ‘모든 병을 고친다’는 뜻에서 유래했으나 “이게 감초 지?” 하며 익살스럽게 웃었다. 가족 모두 한바탕 웃음보따리를 터뜨렸 다. 깊고 깊은 어둠 속에서도 달빛이 설악산을 환히 비추었다. 가득 찬 지게를 메신 채 앞장서 걸어가셨다. 나도 언젠가 지게 를 메고 장에 나가 약초를 팔고 집으로 돌아오는 늠름한 모습을 상상해본다. 설악산의 패션쇼가 몇 번 지나며 가위 치는 엿장수 가을 건강히 무럭무럭 자라거라. 이 애비가 뒷바라지할 테니 아무 걱 정 말고.’ 연이는 아버지 옆에 붙어 껌딱지처럼 따라다니며 겨울 모두 각양각색의 자태를 자아낸다. 봄이면 벚꽃과 진달래 가 만개하고 고기 파는 집 과일가게 등 이색적인 풍경들 이 낯설지만 재미있었다. 우리는 곧장 ‘설악당’으로 들어가 약초 무게를 달고 그 즈음 우리 집에도 TV가 생겼다. 우리는 말린 산나물과 약재들을 시장에 내다 팔기 위해 묶음으로 정리하고 있었다. “어디 보자~ 도라지는 기침 근처 작은 시골 마을에서도 1킬로미터쯤 떨어 진 산골에 위치해 있다. 사람과 말이 겨우 수레를 끌고 지나갈 수 있을 정도의 좁은 길은 경사 가 심해 금이가 구별해서 설명해볼까?” 금이는 귀찮은 듯 “네” 하고 대답했지만 금이는 3학년 기관지에 좋고 기관지염 치료에 탁월하다. 더덕: 사포닌과 인삼과 유사한 성분이 있어 면역력 증강 나는 5학년 나는 어느덧 고등학생이 되었다. 8시 뉴스가 시작되고 나지막한 목소리가 귓가를 스친다. “백아 눈이 많이 내리는 겨울이면 다니기조차 어렵다. 시골 마을에서 10리쯤 나가면 읍내 가 나오는데 다른 약재와 배합할 때 독성을 완 화하고 맛을 조화시킨다. 진해 더덕은 감기 예방과 소화기 약한 사람에게 도 좋지.” 아버지는 거칠지만 따뜻한 손으로 약초들을 세세히 살피셨다. [약초 지식] 도라지: 뿌리에 사포닌 성분이 풍부하여 거담(가래 배출) 등장인물 소개 ● 할아버지: 인심 좋은 약초꾼. 석산이 15세 되던 해 또박또박 상세하게 설명 했다. “감초는 단면이 거칠고 씹자마자 단맛이 강하게 퍼져요. 황기는 색이 더 노랗고 말릴 것 백이 오빠가 나를 불렀다. “앞쪽은 가파른 내리막길이야. 어서 오빠 등에 업혀라.” 나는 한걸음에 폴짝 뛰어 오빠 등에 안겼다. 땀에 흠뻑 젖은 오빠에게 눈치 없이 질문을 퍼부 었다. “오빠 부엉이 소리와 함께 문을 나섰다. 아직 어둡고 으슬으슬하지만 불의의 사고로 사망. ● 할머니: 이성적이며 미래를 준비하는 지혜로운 인물. ● 아버지: 책임감 강하고 마음씨 착한 약초꾼. ● 어머니: 설악산과의 인연으로 옛 기억을 잃은 채 석산을 만남. ● 첫째(황백): 속 깊고 인정 많은 차세대 약초꾼. ● 둘째(황금): 고집이 세고 이기적이지만 따뜻한 마음의 소유자. ● 셋째(황연): 순수하고 감성이 풍부한 막내. 비몽사몽 뻥! 소리 나는 뻥튀기 산속의 공기마저 달달하게 느껴졌다. 해가 기울고 바람이 서늘해졌다. 아버지가 돌아가자는 신호를 보내 시는데 상쾌한 흙냄새를 맡으며 산약초를 채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드넓은 산줄기를 주름잡고 보물을 찾아 떠 나는 모험가처럼 상품 등급에 따라 가격을 측정한 뒤 계산을 마쳤다. 이곳은 할아버지 때부터 단골로 거래해 온 약재방이라고 아버지가 알려주셨다. 필요한 물품과 호떡 하나를 사들고 집으로 향하는 발걸음은 가벼웠다. 호떡을 사기 전 새 벽 바람이 정신을 깨우고 빛나는 별들이 길을 밝혀준다. “심봤다!”를 외치기를 꿈꾸며 세상 은 IMF 이슈로 시끌시끌했다. 몇 년 전 정부는 집집마다 전기 전압을 110V에서 220V로 바꾸는 작업을 했고 소화 촉진 속초에서는 제법 큰 장이 열리는 곳이다. 아버지는 한 달에 한 번 장에 나가 채집 한 약초를 팔고 필요한 물품을 사오신다. 국민학교 입학 전 시장에 내다 팔 것을 하나하나 나누신 뒤에야 밥상 앞에 앉으 셨다. 오늘 저녁 메뉴는 할머니 생전에 아버지가 좋아하신다고 자주 해주시던 삼숙이국이다. 어머니는 허겁지겁 밥을 먹는 내 모습을 보시고 말씀하셨다. “백아 신경통 완화에 도움을 준다고 전해진다. 숨을 헐떡이면서도 오빠는 성실하게 대답해주었다. “금이 오빠는 이것저것 물어보면 짜증만 내는데 오빠는 내가 귀찮게 굴어도 화 안 나?” 오빠는 잠시 웃더니 말했다. “이건 너만 알고 있어. 사실 오빠도 아버지께 묻고 또 물었거든. 너보다 훨씬 더 많이.” 아버지는 숨을 고르며 걷는 백이 오빠를 바라보시더니 나를 부르셨다. “해 지기 전에 산을 내려가야지.” 그 말과 함께 아빠는 나를 들쳐 업고 앞장서 걸음을 옮기셨다. 저 멀리 우리 집 부뚜막에서 피어오른 연기가 하늘로 흩날린다. 어머니는 캐온 나물을 씻 을 것 실제로는 잎에 그리안톡신(Grayanotoxin)이라는 독성 성분이 있어 다량 섭취 하면 구토 씹으면 은은한 단맛과 곡물 맛이 나요. 감초는 약성을 조화 시키고 독성을 완화하는 효능이 있고 아버 지는 나에게 물으셨다. “버스 한번 타볼래?” 마을에서 놀다가 산 아래로 지나가는 버스를 본 적은 있었지만 아버지가 채집한 곰치와 두릅을 망태기에 차 곡차곡 담았다. 금이와 나는 흩어져 고사리 아버지는 연이를 업고 산을 오르셨다. 바다처럼 드넓게 펼쳐진 꽃과 풀들이 산과 바위를 뒤덮은 광경을 보며 연이가 묻는다. “아빠 아버지는 호떡 하나를 사주시고 아버지를 따라 일주일에 두 번씩 산을 오른다. 방학은 언제나 기다려지는 시간이다. 매일 아버지와 함께 바위틈과 나무 사이를 누비며 야생화들이 꽃내음을 풍기며 산나물 잔치가 열린다. 여름이면 바위와 푸른 나무 어머니. 산속에서 딱딱한 뿌리들도 다 소화해내는걸요. 오늘따라 어머니 요 리가 더 맛있어요. 꿈에 나올 것 같아요.” 얼굴과 밥그릇이 합체할 듯한 내 모습을 보신 어머니가 옅은 웃음을 지으시며 수저를 드셨다. 우리 집은 미시령 경계에 자리 잡고 있는데 어지럼증을 유발한다. 다만 잎을 소량 달여 외용제로 사용하면 관절 통 여름 연이는 국민학교에 입학했다. 춘 계방학을 맞아 동생들과 함께 봄나물을 캐기 위해 산행길에 올랐다. 경사가 완만한 풀길을 지나 바위와 돌이 섞인 돌길이 나오자 예로부터 관상용으로 사랑받았다. 민간에 서는 잎을 말려 해열제로 쓰기도 했다. “산천이 꽃바다 같아. 나중에 그림으로 그려볼래.” “그래 오늘은 어떤 약초를 만날까 기대하게 만드는 하루하루다. 설악산의 풍경은 봄 옷가게 우리 딸. 그림 그리면 꼭 아빠한테 보여줘야 한다.” 연이를 업은 아버지의 등 뒤에서 따뜻한 온기가 느껴진다. 그리고 나지막한 목소리로 들려오는 아버지의 혼잣말. ‘눈에 넣어도 안 아픈 우리 딸 우리 형제는 모두 두 살 터울인데 우리가 먹을 것 우리는 폭포가 보이는 산등성이에 올라 어머니가 정성껏 싸주신 산 나물 주먹밥으로 점심을 먹었다. 짭짤한 나물과 고슬고슬한 밥이 입안에서 어우러지며 위장 보호 효과가 뛰어나다. 황기: 면역세포 활성화에 도움을 주며 이건 무슨 꽃이야?” “이건 만병초야. 겨울에도 잎이 초록색을 유지하지.” 일어나야지? 이제 나갈 시간이야.” 아버지와 나는 동이 틀 무렵 저기 보라색인지 분홍색인지 사방에 피어 있는 꽃들은 이름이 뭐야?” “그건 털진달래꽃이란다. 이곳 설악산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여러 명산에서 이맘때면 만개하지.” [약초 지식] 털진달래는 꽃잎에 미세한 털이 있어 붙은 이름이다. 꽃잎과 잎에는 미량의 독성이 있어 식용은 불가하지만 진해(기 침 완화) 참나물 처음으로 아버지를 따라 장에 갔던 기억이 난다. 사람들로 북적이는 거리 천천히 먹거라. 배탈나겠구나.” “걱정 마세요 취나물을 찾아 산비탈을 누볐다. 망태가 거의 가득 찰 무렵 타보고 싶다는 생각은 해본 적이 없었다. 그래서 “다음에 금이랑 연이랑 같이 왔을 때 탈게요”라고 대답했다 풀 들이 어우러져 계곡 그늘 아래 시원한 바람을 벗 삼아 감자 하나 먹으면 지상낙원이 따로 없다. 가을이면 복숭아물 손톱에 물들이듯 단풍이 산을 물들이고 피로 회복에 도움을 준다. 예로부터 ‘산속의 인삼’이라 불렸다. “여기 황기랑 감초가 있는데 해독 허약 체질 개선에 쓰인다. 말이 끝나자마자 연이가 황기를 집어들고 씹어보더니 현대 연구에서도 항산화·항암 성분이 보고되었다. 전통적으로 기력 회복제 화려함 속에 포근함을 내뿜는다. 겨 울이면 설악산의 설경을 그 무엇에 비교하랴! 온천물에 발 담그고 있으면 설악산의 혹독한 추위 도 잊게 만든다. 약초꾼 이야기 1화 – 인트로 황기는 기를 보충해 체력을 회복 시키고 면역력을 강화해요.” [약초 지식] 감초: ‘백약의 군자’라 불리며
한인회 연락처
서식다운로드
기업 디렉토리
참여마당
일정표
사이트맵
사이드 메뉴
한인기업 디렉토리
한인업체 등록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