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3 > > > 어제의 휘광>

연관태그 검색 [태그 in 태그]
1919년 3월 1일 발표된 〈기미독립선언 서(己未獨立宣言書)〉의 첫 문장인 “吾等은 玆에 我朝鮮의 獨立國임과 朝鮮人의 自主的 民族임을 宣 言하노라”(오등은 자에 아조선의 독립국임과 조 선인의 자주적 민족임을 선언하노라)라는 구절이 우리에게 어색하고 낯설게 느껴진다. 100년 전에는 지식인 사회에서 이런 한자어 표현이 익숙했지만 “언어를 잊는다는 건 세계를 인지할 방법을 잃는다는 것이다.”라고 설명했다. 소설 속 화자는 모국어인 중국어를 잊지 않기 위 해 같은 언어에 두 번 몸을 담글 수도 없다. 언어 는 날뛰는 용과 같아 과거를 잃어야 미래를 살 수 있다는 통찰은 그 자체 로 인간을 서로 이어준다. 언어의 경계가 곧 세계 의 경계라면 그 자체 로 인간을 연결한다. 소설 〈내일의 환영 그것이 자신이 쓴 글인지도 모르는 상황이 라면? 자카르타 공항 직원들의 언어마저 너무 빠 르게 변해 항공기 운행이 불가능한 상태라면? 언 어의 변화가 1000배나 빨리 진행되어서 수백년이 아니라 수일만에 소통이 어려울만큼 달라진다면? 물론 중국 SF작가 저우원의 단편소설 <내일의 환 영 그녀는 과거 를 잊음으로써 새로운 언어 그들이 겪어온 언어적 변화를 생각했다. 본토에서 가져온 방언은 세대가 바뀌며 현지어와 뒤섞이고 그리고 모국과 소통하고 돌아갈 방법을 찾기 위해 분투하는 인물이다. 이와 대조되는 인물로 우리는 어떤 언어로 내일의 세계를 살아갈 것인가 저우원의 SF 단편소설 〈내일의 환영 끊임없이 변 하고 적응하는 과정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을. 언어는 날뛰는 용처럼 제어할 수 없지만 나는 어제를 살고 있었다.” 이 대조는 언어와 정체성 을 붙드는 태도의 차이 내일의 환영(환상)은 갈망하 지만 실체가 없다. 인간은 그 사이에서 흔들리며 언어를 통해 세계와 자신을 재편한다. 저우원은 〈내일의 환영 내일의 환영은 우 리를 기다리고 있다. 이 소설이 던지는 질문은 단 순하다. 우리는 어떤 언어로 내일의 세계를 살아 갈 것인가? [끝] 눈의 습관 다시 태어 난다. 어제의 휘광은 사라져도 독자는 알 수 있다. 우리가 세 계를 이어가려면 언어와 마찬가지로 디아스포라 공동체의 세 대 차이를 압축해 보여준다. 나는 이 장면에서 동남아 화인 공동체를 떠올렸 다. 인도네시아의 화인 때로는 억압 속에서 사라지기도 했다. 그러나 그 끝에서 새로운 언어 공동체가 생겨나곤 했다. 싱글리시 (Singlish) 마치 세대와 시간을 압축 해 보여주는 은유처럼 다가왔다. 언어는 몸과도 깊이 닮아 있다. 소설 속 인물들이 잊지 않기 위해 만트라 같다. 포스트잇과 볼펜은 단순한 도구가 아니라 몸 의 기억 속에 새겨진다. 작품 후반부에서 저우원은 언어를 우주적 차원 으로 확장한다. 언어의 변이는 대뇌 신경망의 흔 들림과 겹쳐지고 별자리가 이동하는 우주와 병 치된다. “우주는 소녀의 대뇌다.” 이 문장은 곧 언어=세계=기억이라는 거대한 은유로 이어진다. 소리는 오실로스코프 위의 파형처럼 결코 겹치지 않는다. 우리는 같은 강물에 두 번 발을 담글 수 없 듯 사람들을 다시 이어주는 다리가 되어 새로 운 공동체를 만들었다. 저우원은 다른 국가로 이동하며 겪는 언어의 변 형을 병으로 새로운 세계 속으로 가볍게 발을 들인다. 그녀는 내일을 살아가는 인 물이다. 그녀를 바라보는 화자의 시선은 불안과 동경이 교차하지만 세계를 바라보 는 창이다. 언어가 사라지면 세계도 무너진다. 그 러나 저우원은 그 무너짐을 파국으로만 그리지 않 는다. 빠른 변이 속에서 새로운 공동체가 형성되 고 손의 움직임 심지어 언어유희를 구사해 모두를 웃 게 만든다. 언어는 소멸하는 것이 아니라 변이하 면서 싱가포르의 화인 아니 불과 석 달 만에 어제를 잃음으로써 내일을 살아갈 수 있는 가능성 이 열린다. 소설 속 인물인 샤오광은 자발적으로 과거를 잊 음으로써 내일을 살아가는 인물의 표상이다. 과거 를 단단히 붙잡으려는 화자와 달리 어제의 일조 차 금세 잊는다. 하지만 바로 그 결핍이 그녀를 새 로운 세계에 적응하게 한다. 그녀는 주저하지 않 고 내일의 세계 속으로 가볍게 발을 들인다. 화자 가 고백한다. “그녀는 내일을 살고 있었고 어제의 휘광> 속 설정이다. 소설에서만큼 극적 이진 않지만 어제의 휘광〉에서 언 어가 단순히 말을 주고받는 도구가 아니라고 말한 다. 언어는 기억이고 어제의 휘광〉은 언어를 정 복의 대상이 아니라 공감의 대상으로 바라본다. 잊어야만 기억할 수 있다는 역설 어제의 휘광〉을 읽고 조연숙의 인도네시아 천 개의 이야기 조연숙 | 데일리인도네시아 편집장 한인뉴스 2025년 10월호 I 45 샤오광을 등장시킨다. 그녀는 기억 을 잘 붙잡지 못한다. 과거는 손가 락 사이로 새어나가고 언어 를 현지에 적응하게 하는 힘으로 보여준다. 그래 서 그는 2장의 제목을 “언어의 경계는 세계의 경 계다.”라고 쓰고 언어는 변 형되고 새로운 체계가 자리 잡는다. 화자가 모어 를 잃어버리는 병이라 여겼던 ‘후이광 증후군’ 은 곧 단순한 결핍이 아님이 드러난다. 출장 온 동 료들은 이미 새 언어로 농담을 하고 이주자와 디아스포 라의 경험을 보편적인 차원으로 끌어올린다. 과거 의 빛 인도네시아에 와서 사흘밖에 안 됐는데 한국 에 있는 가족과 통화할 수 없을 만큼 한국 어를 잊는다면? 자카르타의 한 호텔 로비에 여러 국적의 사람들이 서로의 언어가 뒤섞인 채 우왕좌 왕한다면? 각자 모국어를 잊지 않기 위해 포스트 잇에 기억하고 싶은 것을 적어 여기저기 붙여 놓 았지만 일상 이야기 를 나누며 잊어버림을 통해 다시 기억하는 길이 열리며 저우원의 소설은 그 경계에서 흔들 리며 살아가는 인간의 모습을 우주적 은유로 그려 낸 작품이다. 언어는 언제나 사라지고 정체성이고 존재를 이어주는 생명줄이다. 언어는 신경망 속에 만 있는 것이 아니라 즉 어제의 휘광(영광)은 여전히 눈부시지 만 붙잡을 수 없고 통제할 수 없지만 페라나칸(Peranakan) 말 할아버지와 할머니는 손자들이 게임 용어와 영어를 섞어 쓰는 이야기를 얼마나 알아들 을까? 손자들은 할아버지와 할머니가 말하는 단어 들을 100% 이해할 수 있을까? 실제로 조선은 말할 것도 없고 현대 한국어에서는 잘 쓰이지 않기 때문이다. 언어가 사라지는 상상을 해본 적 있는가. 이 소 설은 단순히 단어 몇 개가 떠오르지 않는 경험을 넘어선다. 어제까지 쓰던 말이 오늘은 통하지 않 는다. 1년 만에 혹은 기억을 되살리기 위해 반복 해서 같은 말을 되뇌는 장면은 의례 같고 혹은 재난으로 그리는 동시에 혹은 현지 화된 중국어. 소설 속 인물들이 석 달 만에 새 언 어에 적응하는 모습은
한인회 연락처
서식다운로드
기업 디렉토리
참여마당
일정표
사이트맵
사이드 메뉴
한인기업 디렉토리
한인업체 등록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