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인뉴스 검색

[2013년 5월] Jalan-Jalan Jakarta/국립박물관 <사공경>

8,790 2013.05.16 17:11

짧은주소

본문

인도네시아인들의정신적신전

국립박물관 Museum National

(구관2편제9전시실-14전시실)

든 유산은 위대한 의미로 포장하지 않더라도 한결같이 소중하다. 조국이 아닌 이국이라 해서 다를 바 있겠는가. 그것은 곧 삶의 과정이며 생존의 흔적이며 이상이고 희망인 것. 아니, 우리들의 삶 그 자체인 것을.


9전시실- 청동관

청동관에는 불사조 한 마리가 영혼을 시바 신상에매달고 이끼 낀 날개로 청동거울을 닦고 있을 것같다. 이곳에 전시된 

3,000 품목 중에는 청동도끼, 장신구, 물그릇 그리고 불교 . 힌두교의 신상도 많다. 인도네시아의 청동기 시대는 기원

1세기이며 청동의 유입은 삶의 문화적 측면을 많이 변화시켰다. 손상이 쉬운 살림도구들은 청동으로바뀌었다. 고고

학적인 발굴품인 5세기에서 15세 기에 이르는 불교와 힌두교 문화의 여러 상들이많은데 구분하기가 쉽지 않다. 자세히 

관찰하면 불교 상들의 손이 빈손인데 반해서 힌두 상들은 물건이나 무기를들고 있다는 점이 다르다. 힌두 3대 신인 파괴

의 신인 시바(Shiva), 보호의 신인 브라마 (Brahma), 창조의 신인 위스누(Vishnu)는그들이 타고 다녔던 물소, 거위,

루다 청동상 위에 견고하게 서 있다. 불교왕국은 7세기-9세기까지 지속되었고, 힌두왕국은 7-14세기까지 유지되었다고 

한다. 이것이 불교보다 힌두교의 신상이 많은 이유이기도 하지만 힌두교가 여러 신들을섬기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 한다.

무역과 학문, 방어 신인 가네샤 상도 많이 볼 수 있다. 자비의 여신 타라 신상에 앞에 서면 ‘슬퍼마세요. 당신에게 일어나

는 모든 일들은 지나갑니다.’라고 위로하는 소리가 들린다. 신앙심을 키우고 악령을 쫓아내는 사원에 매다는 종은 윗부

분에 위스누 신으로 장식되어 있는데, ‘저물녘, 달려오는 어둠 속에 무릎을 꿇고 있는 종소리’라는 시가 생각난다

빛의 신인 가루다가 앉아있는 등잔 앞에 서면 한줄기 바람이 지나간다.‘등불 하나가 내 속으로걸어들어와 환한 산이 되

고 등불 둘이 걸어들어와 환한 바다가 되어 모든 그림자 쓰러뜨리고 가는바람 한줄기’라는 시처럼. 또한 태양의 신 수르

야가 일과를 마치는 밤이 되면 그를 위해 등불을밝힌 위스누처럼 우리도 어두움 속에 누워있는 누군가의 꿈 한 자락을 

위해 등불을 밝혀야겠지.

항해자들을 보호하는 바다의 신 디빤까라 불상(Buddha Dipankara:연등불)은 팔이 잘려져 있다. 배를 보호하지 못한 벌

일까? 자연의 힘을 감당하지 못한 상처일까? 아니면 이렇게 온몸을 던져 도전함으로써 살아 있음을 느꼈을까? 잘려진 

팔에허공이 묻어있다. 밀랍주조 기법을 사용하여 속이 비어 있는 이유물은 인도네시아에서 발견된청동 부처 상 중에서 

두 번째로큰 것이다. 중부 자바에서 온 부()의 신인 잠발라(Jambhala)상은 정교한 옥좌에 앉아 오른발은 풍요의 뿔 위

에 올려놓고, 오른손에는 다산과 부를 상징하는과일을, 왼손에는 재물을 상징하는 몽구스 가죽으로 만든 가방을 가지고 

있다. 불교·힌두교 신자 모두가 존경하는신이다. 예나 지금이나 부()를 좋아하는 것은 인 지상정(人之常情)인가.

종교의식 때 사용한 성수를 담은 물그릇과 청동제기는 정교하고 단단해 보여 신의 문신이 새겨져 있을 것 같다.

 

10전시실- 선사시대유물관

이 전시관에는 고고학적이며 진귀한 전시품이 많은데 특히 자바원인두개골의 복제품 - 피테칸트로푸스에렉투스(Homo 

Pithecanthropus Erectus)가 있어서 이 박물관을 더유명하게 한다. 1891년 우젠 듀봐 (Eugene Dubios)가 발견했다.

다리뼈를 보면 직립(Erectus) 원인(原人)임을 알 수 있는데, 인간에 대한 많은 생각을 하게 한다. 인류가 자연인에서 문

명인에 이르는 모태가 되었다는 자바원인의두개골은 퀭하게 뚫린 두 개의 눈으로 낯선 관람객을 마주 보고 있다. 그 안

에 든 어떤 생각이 불과문명을 일구었는지, 깊이를 알 수 없는 생각의 무덤이 두개골로 집약되어 있다. 시간의 처녀들과 

함께. 바로 옆에 북경원인의두 개 골 도있다.

 

여기에 또 하나 흥미를 더하는 유물은 기원전1000년에 베트남 북부에서 사용한 가마솥처럼 생긴 청동 북이다. 이 북은 

위험을 알릴 때나 거족적인 여러 행사에 사용했다고 한다. 윗면 가장자리에는 네 마리의 청동 개구리(비와 번영의 상

)가 놀래면 금세라도 뛰어내릴 듯 한 자세로 쪼그려 앉아 있다. 우리나라의 청개구리 설화를 생각나게 하고, 울음소리

와도 관련지어 기우제를 연상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북은 대체로 해상무역 경로에서 발견되었다. 청동 북에 양각되

어 있는 기하학적인 무늬·배·집·별들은 도자기와 직물 디자인패턴의 중요한 모티브가되었다.

 

선사시대에 기원을 두고있는 다니족 여성들이 지금도 사용하는 난초줄기 섬유를 이용한 가방 노껜(Noken)에는 무수한 

시간의 흔적이 박혀있는 것 같다. 여러 종류의도끼 중, 준보석에 해당하는 광석으로 만든 네모꼴 돌도끼는 값진 재료로 

미루어보아 부적이나 부장품 또는 물물교환용으로 사용했을 것으로 짐작된다. 청동 구슬 목걸이도 전시되어 있는데,

슬은 화폐로도 사용되었으며 부장품으로 발견된 이구슬은 저승 가는 길의 노자 돈으로 무덤에 넣은것이다. 석관들의 칸

막이로 사용한 돌로 된 벽에새겨진 벽화에 손가락과 황소 머리가 그려져 있는데, 아마 사후 세계로 가는 영혼의 명복을 

비는 의미로 추정된다. 벽화가 얼마나 예술적인지 두려움보다 미지의 세계에 대한 기대감이 밀려온다.

 

11전시실- 도자기전시관

Ceramic이라는 말은 그리스의 도자기 신인Keramos에서부터 유래되었다. 도자기는 흙과 불과 혼으로 만들어진다. 이 

전시관에는 인도네시아에서 발견된 기원전 200년부터 18세기까지 생산된 도자기를 전시하고 있다. 골동 도자기들은 오

래전부터 내려온 것들이고 모양과 표현 방식에서 독 특하기 때문에 우리는 신비하고 깊은 맛을 느낀다.

11-1 전시실(8전시실 전통 가옥관과 연결된 전시실)에는 각종 외국 도자기가 전시되어 있으며 특히 도자기로 유명

한 중국의 것들이 많다. 베트남·태국·미얀마·일본·유럽·러시아· 페르시아 등지로 부터 교역용으로 들어온 도자기들이 함

께 전시되어 있다. 중요한 도자기들은 1932년 네덜란드 자선 사업가이며 수집가인 옥소이 드 퓰린(E.W,van Orsoy de 

Flines)이 인도네시아 정부에 기증했으며, 그는 국립박물관 첫도자기 큐레이터를 지냈다.

 

*일본 도자기(17세기~19세기)는 대체로 화려하고 색깔이 맑으며, 금붕어와 장미꽃이 그려져 있

으며, 영웅주의를 상징하는 독수리 문양도 있다. *

태국 도자기(13세기~17세기)는 코끼리 문양이많은 것으로 보아 그들이 코끼리를 성스러운 동 물로 여기는 것을 알 수 

있다. *베트남 도자기 (13세기~17세기)는 중부자바와 동부자바, 칼리만탄에서 많이 발견되었다. 주로 청색과 흰색이고

중국 도자기처럼 꽃문양과 연결되어 있는 줄 문양이 많았다. 또 메기와 큰 지느러미가 있는 반등 (bandeng, milkfish)

양이 특징이다.

 

그 외에 미얀마(13세기~16세기)·캄보디아(12세기~13세기)·유럽(17세기~20세기)·중동

(17세기~19세기) 도자기도 전시되어 있다.

**중국 도자기는 연꽃과 용 문양 특징이다. 한 왕조(B.C606~AD.220)·당 왕조(618~906)·

송 왕조(960~1279)·원 왕조(1279~1368)· 명 왕조(1368~1644)·청 왕조(1644~1912)에서 만들어진 것이 전시되어 있다.

대체로 당() 왕조는 백자가 많으며, ()왕조는 갈색·보라 색·흰색, ()왕조는 연초록빛, ()왕조는흰색·보라색·

청색 무늬가 많다. 6세기 명() 왕조 때 사용한 잉어가 그려져 있는 큰 그릇(gold fish bowl)은 붉고 파란 색깔의 대비

로 생동감을준다. 잉어는 장수와 풍요를 뜻하며 자식을 상징하기도 한다. 그들의 일상생활이나 중국 사람들이 좋아하는 

모란꽃이 그려져 있는 도자기에서 몽롱한 봄기운이 느껴진다. 용 모양으로 된 주전자, 동식물 문양을 가진 약잔도 전시

되어있다. 한편 청나라에서 온 도자기가 유약 바르는 방법이 간단해서 명나라 도자기보다 거칠다. 명·청나라의 도자기

는 문양이 비슷하고 대부분 백조·말·사슴 등, 동물이 많이 나온다. 뒤쪽에 있는 유리 장에 중국현대 도자기가 보관되어 있

는데 주로 빨간색과 초록색이다. 또 아랍어로 쓰인 중국 도자기가 있다.

 

명나라 시대 때 아랍 사람들이 주문한 것이다. 아랍어가 쓰인 의약접시로 사용한 도자기들도 보관 되어 있다. ()

조 때 사용했던 청백자는 무늬 양식이 이슬람 금속 세공의 문양에 기초하고있다. 이슬람 시장개척을 위해 제작한 것으

로 중국인들의 상업정신을 엿볼 수 있다.

 

11-2전시실(Taman Arca 쪽에 출입구, 11-1전시실과 연결) 인도네시아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도자기는 기원전에 

제작한 한 왕조의 도자기이며 이주한 중국인들이 가지고 온 것으로 추측이 된다. 덮개가 언덕형태로 된 향로는 한 왕조

의 부장품으로 가장 오래된 도자기이며 약2000년 전의 것이다. 그당시에도(1세기-2세기)중국과 인도네시아가 무역을 

했다는 증거이다. 한 왕조가 헌물 함으로 사 용한 도자기도 있으나 대부분 유골을 넣어둔 도자기이다.

 

당 왕조의 도자기 중에는 수도승이나 이주자들이인도로 가는 길에 가지고 온 것으로 추측이 된다.

그 후, 무역시대 때 전략적인 항구가 된 인도네시아에서 외국 상인들이 향료를 도자기와 교환하기 도 했다. 송 왕조 때 

사용한 청자에는 네 개의 발톱을 가진 용이 새겨져 있는데 이는 힘, 명예, 풍요를 상징한다. 고려청자처럼 그윽하다,

이 시리다, 라는 표현은 맞지 않지만 녹청색으로 된 이접시에 음식을 담으면 장수한다고 믿었으며. 특별한 의식 때 사용

한 만큼 고귀해 보인다.

 

인도네시아 사람들은 도자기를 좋아한다. 전통 도자기는 주로 진흙으로 만들어진 테라코타 (terakota)로 중요한 필수품

이었고, 집안 용품 또는 장례식용, 유산, 혹은 사람의 지위를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되었다. 특히 발효식품을 보관하기 위

해 도자기가 필요했으나 흙이 단단하지 못하고 더운 나라라 높은 온도에서 구울 수가 없어서 도자기 문화가 발달하지 못

했다. 그래서 단단하고 아름다운 중국 도자기가 인기가 있었다. 테라코타중에 흥미로운 것은 13-14세기에 사용했던 돼

지저금통 자기의 앙증맞은 모습이다. 그때에도 이미저축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을까.

 

물병(Kendi)은 마자빠힛(Majapahit) 왕조가 생산했고, 동남아 지역으로 수출하기 위해 중국에서 쓰이는 주전자의 형태

를 본 따왔다. 큰 저장 항아리를 마르따반(Martavan)이라고 부르는데 버마 항구인 마르따반을 통해 들어왔기 때문이다.

이안에 쌀과 물을 저장했으며 이렇게 큰 항아리에는 주술적인 힘이 있다고 믿었다. 때로는 유골을 보관했으며 칼리만탄

에서는 용이 새겨진 마르따반을 가보로 여기기도 했다.

 

서부 칼리만탄의 싱까왕 (Singkawang)에 살고 있는 중국 사람들이 도자기와 큰 항아리를 만들었다.

구운 토기, 테라코타, 도기 항아리들이 중부 자바의 뜨갈 (Tegal)에서 많이발견되었다고 한다. 테라 코타 기술(진흙을

350~1000도에서 구워서 모래를 덮고 식힘)이 서부자바와 중부자바, 수마트라, 자카르타 등 많은 지역으로 전파되었

. 동부자바의 마자빠힛 왕국에서 내려온 물 주전자와 목걸이의 장식, 저금통, 물소(nandi)모양의 조각 등많은 도자기

가 뜨로울란(Trowulan) 유적지에서 많이 발견되었다. 그 외에 므라삐 화산 모양의 향로와 재를 담은 통, 화분, 항아리

도 있다.

 

도자기 위에 산호가 자라고 있는 송·명 왕조 시대의 사발이 있다.(신관도자기실에 전시) 이는 깨 졌거나 질이 낮아 중국 

상인들이 바다에 빠뜨린것을 해녀들이 끄집어 올린 것인데 중부 자바에서 발견한 것이다. 바다 속에서도 숨 쉬는 있었

던 도자기의 생명력이 놀랍다.

 

우리나라의 청자나 백자와 같은 독자적인 도자기문화는 엿보이지 않고 토기나 도기 문화에서 그친 것이 인도네시아의 

도자기 문화인 듯한데, 중국의당, , , , 청대에 이르는 엄청난 양의 중국 도 자기들이 전시되어 있는 것으로 미루어 

인도네시아와 중국과의 교역이 예로부터 활발했음을 짐작 하게 한다. 하긴 동방의 어느 나라가 중국 문화의 영향을 받

지 않았을 것인가. 중국의 콜럼버스라 불리는 정화의 7차에 걸친 원정(1405-1433) 이후 화교가 동남아시아, 인도네

아에 본격 적으로 뿌리 내리는 계기가 되었고 그의 원정 로를 바다의 도자기 길이라고도 한다.


맑은 마음으로 흙을 만지지 않고서는 아름다운 도자기가 나올 수 없다. 가마터에 불어오는 숨죽인 봄날 한낮의 바람 소

리를 들으며 흙에 감성을 불어넣었을 도공들의 마음의 길을 따라 걸으며 전시 관을 나왔다.

 

12전시실- 직물관

인도네시아의 여러 지역에서 온 다양한직물이 전시되어 풍부한 직물 유산을 확인할 수 있다. 직물은 문화의 중요한 부분

을 차지한다. 전통의복에서 무늬나 색깔은 사회적지위를 나타내며, 또 종교의식 . 결혼식. 장례식등 용도에 따라 달리한

. 인도네시아 직물은 내려오는 전설만큼이나 흥미롭다. 한 여신이 목화를 가져왔고 스스로 베틀이 되었다고 한다.

도네시아 직물은 누군가의 희생과 정성이 없이는 직조를할 수가 없기 때문에 생긴 전설이리라. 어떤 것은오래된 양식들

로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 것도 있지만 ‘바틱’으로 대표되는 인도네시아 직물 발달의 시발점에 있는 여러 직물들은 의식주

의 일면을엿보기에는 모자람이 없다. 바틱과 더불어 대표적인 직물은 이깟(ikat), 송껫(songket)이다. 이러한 전통직물

은 오랜 시간을 소요한다. 직물의 모티브는 대체로 자연에 바탕을 두며 일단 직조가끝나면 자수, 구슬, 조개껍질 등으로 

천을 꾸며 예술성을 높인다. 달과 별, 하늘, 꽃을 많이 바라보는그들은 자연이 곧 예술임을 알고 있었다.

 

원시의 냄새를 느낄 수 있는 또라자 지역의 나무껍질로 만든 블라우스와 스커트는 중요 의식에 입었 다고 하는 한다. 이 

옷을 입은 여자의 신분이 적잖은 궁금증을 불러일으킨다. , 귀족, 중부자바의 무희들만이 의식 때 입었던 도

(Dodot)이라는사룽(sarung:하반신에 두르는 천)은 보통 사룽의6배 길이다. 결혼식 때 부부 의상으로도 사용했으며 

악을 쫓고 생명과 풍요를 상징하는 넝쿨줄기모 양으로 된 산과 신화적인 동물 문양이 그려져 있으며 품위가 있어 보인

. 발리의 전통 바틱, (cap, 도장)으로 찍힌 바틱, 손으로 그려진 바틱 등이 전시되어 있다.

 

여성의 해방을주장한 까르띠니 (Kartini)가 만든노란색 바탕의 바틱에 꽃이 속절없이 떨어지고 있었다. (25살 때 죽음)

까르띠니가 만든 이 사룽은 그녀의 가족이 박물관에 기증했으며 그녀는 이 옷을즐겨 입었고 인도네시아 여성들에게 전

통 옷 입기를 장려했다.(까르띠니 기념일 4 21) 땀빤 마주(Tampan maju)라고 불리는 ship cloth는 현재에는 거의 

찾아 볼 수 없다. 벽에 걸어 놓거나, 의자에 놓아두거나 기념식 때 걸치거나 조상들에게 무엇을 희구(希求)할 때 사용했

. 배 문양의 천(Palepai)은 수마트라 남서쪽에 있는 끄로에(Kroe) 지역에서 온 것으로 중앙의 두터운두 줄은 조상을 

나타낸다. 금실로 수놓은 천은 보통 왕과 왕족, 귀족들이 입었던 천이다. 금실은 중국에서 수입 된 것이 많았다고 한다.

북부 수마트라에서 수의로 사용했던 ‘바수랏 (basurat)’천에는 이승과 저승 가는 길 지루하고 두렵지 않도록 코란 기도

문이 적혀 있었다.

 

한편, 칼리만탄 공주들이 의식 때 입었던 옷을 보면 중국 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을 알 수 있다. 다약(Dayak)족의 직

물에는 구슬이 자모음으로 흩어지고 있었다. 또 파푸아 여자들이 지금도입고 있는 묶여진 밀짚으로 된 치마도 전시되어

있다. 시간의 빛은 몰락해 간다지만 인도네시아 전통 직물은 흐르는 시간 속어 더 빛나고 있었다. (직물 전시관 앞쪽에 

태국관 2003년개관).

 

13전시실- 화폐전시관(현재수리중)

상거래의 혁명을 이룬 화폐가 인간을 행복하게 했는가, 불행하게 했는가를 따져 묻기 전에 그 화폐 들의 실체를 확인하

는 건 흥미롭다. BC 500년이나 되는 오래된 것부터 힌두 시절, 지금까지의 화폐의 변천사가 총망라되어 있다. 우리 교과

서에서봤던 명도전과는 형태가 다르지만 1세기 한 왕조에서 사용한 칼 모양의 돈도 전시되어 눈길을 끈다. 세계 여러 나

라의 화폐들이 함께 전시되어 있는데 상평통보와 같은 우리나라의 옛날 동전들도있다. 수라바야, 자바, 칼리만탄에서부

터 사용되어 온 인도네시아 옛 지폐들은 요즘 같은 액면가가 아닌 크기에 따라 값이 달라진다. 지폐이면서도 사각형이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4,466건 156 페이지
제목
재인도네시아 한인회 아이디로 검색 2013.06.14 6,054
재인도네시아 한인회 아이디로 검색 2013.06.14 7,148
재인도네시아 한인회 아이디로 검색 2013.06.14 10,477
재인도네시아 한인회 아이디로 검색 2013.06.14 6,817
재인도네시아 한인회 아이디로 검색 2013.06.13 7,048
재인도네시아 한인회 아이디로 검색 2013.06.13 6,853
재인도네시아 한인회 아이디로 검색 2013.06.13 6,826
재인도네시아 한인회 아이디로 검색 2013.06.13 6,714
재인도네시아 한인회 아이디로 검색 2013.06.13 7,374
재인도네시아 한인회 아이디로 검색 2013.06.13 7,220
재인도네시아 한인회 아이디로 검색 2013.06.13 9,348
재인도네시아 한인회 아이디로 검색 2013.06.13 9,534
재인도네시아 한인회 아이디로 검색 2013.06.13 6,368
재인도네시아 한인회 아이디로 검색 2013.06.13 6,117
재인도네시아 한인회 아이디로 검색 2013.05.17 7,454
재인도네시아 한인회 아이디로 검색 2013.05.17 7,913
재인도네시아 한인회 아이디로 검색 2013.05.17 7,598
재인도네시아 한인회 아이디로 검색 2013.05.17 6,462
재인도네시아 한인회 아이디로 검색 2013.05.17 6,659
재인도네시아 한인회 아이디로 검색 2013.05.17 6,564
재인도네시아 한인회 아이디로 검색 2013.05.17 6,417
재인도네시아 한인회 아이디로 검색 2013.05.17 6,425
재인도네시아 한인회 아이디로 검색 2013.05.17 6,835
재인도네시아 한인회 아이디로 검색 2013.05.17 6,695
재인도네시아 한인회 아이디로 검색 2013.05.17 6,314
한인회 연락처
서식다운로드
기업 디렉토리
참여마당
일정표
사이트맵
한인기업 디렉토리
한인업체 등록안내